제주도오름

저지오름 산책길 : 제주도 오름 네번째 이야기

essay4023 2025. 3. 17. 08:02
반응형

3월 따뜻한 날 저지오름에 다녀왔습니다.


저지오름은 한림읍을 오가는 길에 눈여겨 보던 곳 입니다.
저지리는 전국의 유명한 예술인들이 모인 저지문화예술인마을이 있고
유명한 생각하는 정원이 있는 마을입니다.


 1. 저지오름의 개요

저지리의 도로 오른쪽에 우뚝 솟아 있는 오름입니다. 닥몰오름, 새오름 저지악등 여러 별칭으로 불립니다 

높이 239.3m 둘레 2,542m 의 규모로 모든 사면의 경사도와 거리가 거의 같아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

산 정상에는 둘레 약 800m, 깊이 약 60m 에 달하는 깔대기 형태의 분화구가 있습니다.

 

2. 저지오름의 특징

소나무, 삼나무, 팽나무, 육박나무를 비롯해 모두 220여 종 2만여 그루의 나무가 자라 자연 학습 생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합니다. 정상까지 오르는 길이 비교적 평탄해 어린이나 노인을 동반한 가족 단위 등산객이 많이 찾습니다. 이 산의 울창한 나무슾은 2005년 6월 생명의 숲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에는 제 8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3. 찾아가는 방법

저지오름은 유명한 새별오름과 같은 유명한 오름처럼 주소나 저지오름이라는 이름을 네비게이션에 검색을 하고 찾아갈 수 있는 오름 중 하나입니다. 저지오름을 검색했을 때 도착하는 곳은 저지오름 야외생테 학습장이 있는 입구였는데 반대편 공동묘지 주차장에 주차를 하면 전망대로 오르는 길에 조금 빠르게 도착할 수 있습니다.

 

주소: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산 51
 

저지오름이라는 호칭은 마을 이름이 저지로 되면서 부터 생긴 한자 이름이라고 한다. 그전 까지는 '닥몰오름'이라 불렀으며, 저지의 옛이름이 '닥머루'(닥몰) 였다고 한다. 이는 닥나무가 많았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고, 한자 이름은 한자의 뜻을 빌려서 표기한 것이라고 한다.

저지오름은 초가집을 덮을 때 사용했던 새(띠)를 생산하던 곳이었으나 마을 주민들의 힘으로 나무를 심어 오늘의 울창한 숲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4. 탐방 후기 


처음과 전망대로 오르는 길의 가파른 계단길 외에는 


맨발로 걸어도 되겠다 싶은 평평한 숲길이었습니다.
 


숲길 주변에 빨간 열매 달린 식물이 눈길을 끌어 찾아보니
자금우 라고 하네요

 자금우
자금우는 자금우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꽃은 6월에 흰색 또는 엷은 홍색으로 지난해 나온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열매는 9월에 지름 10mm 정도의 둥근 장과로 붉게 익는데 다음해 까지 달려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한라산과 주변 풍경도 멋있었지만, 


무엇보다 특이했던 경험은 분화구로 내려가 보는 것이었습니다.


몇군데 오름을 가보기는 했지만 분화구 주변까지 직접 내려가 보는 경우는
드문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여기야 말로 가파른 계단의 끝판왕!!!

 

저지 오름 분화구 
저지오름 분화구는 기원전 25~20만년 전에 형성된 원형의 분화구 형태로 둘레 800m, 깊이 62m 의 규모로 되어 있으며, 주요 식생으로는 해송, 상산등 70과 220여종이 자라고 있다.

수십년 전까지만 해도 이곳 분화구에서 유채, 보리, 감자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주민이 있었다고 하는데 무척 힘들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정상에서 내려와 둘레길까지 마저 돌고 내려올 때 딱다구리를 봤습니다.
정말 딱,딱,딱 소리를 내는 게 신기하더라구요.


한참을 보다가 놀라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에 조심하며 그 밑을 지나 내려왔습니다 
아이들에게 찍은 영상을 보내 주니 재밌어 하네요.

좋은 공기 마시며 산책도 하고 
보기 힘든 딱다구리 소리도 직접 들을 수 있었던 재밌는 탐방이었습니다.

 

5. 마침말 

저지오름이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상을 받아서도 생명의 숲으로 지정되어서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초가집을 덮는 띠를 생산하던 곳이었는데 마을 주민들이 나무를 심고 가꾸어 현재의 모습을 만들었다는 것에 저지오름의 특별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도 저지리 마을 청년회와 부녀회에서 년 4회 숲길 풀베기등의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