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가볼만한 곳 27

산방굴사 : 제주도 서쪽 가볼만한 명승지

아침에 눈을 떠 거실로 나가면 창문으로 산방산이 보입니다. 산방산이 깨끗하게 보이면 '오늘 날이 맑구나' 하고 산방산이 보이지 않으면 '오늘은 비가 오려나' 생각하게 되는 산방산은 우리집 앞산 같은 곳입니다. 그런데 산방산 앞을 지나만 다녔지 한번도 올라가 본적이 없습니다. 제가 제주도로 오고 얼마 되지 않아 바로 보호기간으로 지정되어 버렸기 때문입니다. 산방산에 오를 날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산방굴사에 다녀왔습니다. 목 차1. 산방산2. 산방산의 생성과정3. 산방굴사 4. 풍화혈5.방문 후기 1. 산방산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산 16번지 일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에 있는 종상화산(鐘狀火山) 이며 높이 395m로 조면암질 안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서귀포층 : 제주도 지질공원 백만년의 기록

서귀포층은 서귀포항 새연교 입구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관광명소 천지연 폭포와 서귀포 잠수함을 타는 곳이라서 관광객이 많은 편인데도 지질공원의 가치를 알고 가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저 역시 그저 지나쳤다가 지질공원에 대해 알고 나서 다시 찾았던 곳입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 707 외 31필지찾아가는 법 : 네비게이션에 천지연 폭포, 서귀포항, 새연교 등을 검색하고 안내 받은 주차장에서 새연교 입구으로 쪽으로 찾아가면 됩니다. 목 차 1.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도 2. 서귀포층3. 탐방 후기 1.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도세계적인 가치를 지닌 특별한 땅인 세계지질공원은 지질학적인 뛰어난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 지역을 보호하면서 이를 토대로 관광을 활..

서귀포 새섬 공원 : 새연교 건너 힐링 공간

서귀포 잠수함을 탈 때 방문하는 서귀포항의 새연교는 아시는 분이 많습니다. 당연히 새연교가 서귀포 항과 새섬을 연결하는 다리라는 것도 많이들 아실텐데, 새섬에 가보신 분들은 많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저도 천지연 폭포에 갔을 때 새연교에는 올라가서 사진도 찍고 새연교를 찍은 사진으로 그림도 그렸었지만 새섬은 이번에 처음 갔습니다. 오름 탐방만큼이나 자연을 느끼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오늘은 새섬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성중로 40 목 차 1. 새연교 2. 새섬 3. 방문후기 1. 새연교새연교는 서귀포항과 새섬을 잇는 다리로 '새로운 인연을 만들어가는 다리' 라는 의미에서 이름지었다고 합니다. 새섬을 찾는 관광객들과 서귀포가 아름다운 인연을 맺어보..

세계지질공원 제주도 : 13곳 명소

4월초에 제주도 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결정되었습니다. 그 이전에 제주도는 2002년 2월 생물권 보전지역 승인,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재에 이어 2010년 4월 세계지질공원 까지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3대 환경보호제도'에 모두 등재, 인증되어 있습니다.3대 환경보호제도 중에서 세계 지질공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 차1. 지질공원이란 무엇인가2. 제주도 지질공원3. 제주도 지질공원 대표명소4. 마침말 1. 지질공원이란 무엇인가지질공원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장소로서 자연, 인문, 사회, 역사, 문화와 전통 등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역주민의 경제적 이익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공원을 말합니다.2. 제주도 지질공원제주도는 2010년 10월 유네스코 세..

알뜨르 비행장과 일제 지하 벙커 : 제주도 다크 투어 추천

알뜨르 비행장은 진지동굴처럼 일제시대 때 일본이 제주도에 건설한 시설물 입니다. 안덕면으로 이사를 오고 나서도 한동안은 알뜨르 비행장과 일제 지하 벙커에 대해 잘 모르고 살았습니다. 직장을 다닌다는 이유보다는 아마 관심이 없어서 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곳을 찾아 다니기에도 바빴던 때였으니까요. 저처럼 몰라서 찾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알뜨르 비행장과 관련된 곳들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670 목 차 1. 알뜨르 비행장 2.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 3. 일제 지하벙커4. 알뜨르 비행장 관제탑5. 알뜨르 비행장 일제 고사포진지6. 마침말1. 알뜨르 비행장알뜨르 비행장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대정읍 상모리 아래쪽의 너른 벌판에 제주도민을 동원하여 건설한 군용..

안덕계곡 : 제주도 서쪽 가볼만한 곳 추천

오늘은 제주도 서쪽 가볼만한 곳 추천지로 안덕계곡에 다녀왔습니다. 제주살이 만 5년만에 처음 가본 곳입니다. 간혹 지인 분들의 추천을 받기는했었지만 오고 가는 길에 보는 근처 모습이 그렇게 좋아보이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큰 대로변 아래에 숨어 있어 저희처럼 그 가치를 모르고 지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소개해 드립니다. 주소 : 제주 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1946 찾아가는 길: 네비게이션에 안덕계곡을 검색하면 감산리 재활용센터 주차장으로 안내를 받습니다. 이곳에 주차를 하면 길 맞은편에 계곡으로 내려가는 입구가 있습니다. 목차 1. 안덕계곡의 어원 2. 개요 3.상록수림 4.바위 그늘집터 5.후기 1. 안덕계곡의 어원 안덕계곡은 먼 옛날 하늘이 울고 땅이 진동하고 구름과 안개가 ..

속골유원지 : 제주도 현지인의 여름 피서지

속골 유원지에 다녀왔습니다. 속골유원지는 지인의 소개로 알게 된 장소입니다. 캠핑, 차박 붐이 일기 시작하고 그런 열풍을 보다 보니 같이 휩쓸려 차박에 관심이 가던 중이었습니다. 지인이 여름에 속골 유원지에서 차박을 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찾아갔습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속골 유원지를 알고 나니 지난 3월 서귀포 국제 유채꽃 걷기 대회에도 속골 유원지가 코스에 포함되었다는 것도 보였습니다. 찾아가는 길 : 네비게이션에 '속골 유원지'를 검색하면 바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차장 : 주차장은 넓은 편입니다. 주차장에 주차를 할 수도 있지만, 바닷가로 내려가면 차 몇 대만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나옵니다. 이곳에 주차를 하면 차에 앉아 서귀포 앞바다와 범섬을 바라보며 물멍을 할 수 있습니다. 찾아갈..

천제연 폭포 : 중문 관광단지에 있는 하늘 연못

천제연 폭포에 다녀왔습니다. 천지연 폭포, 천제연 폭포 비슷한 이름이라서 라는 핑계를 대기도 창피하지만, 아이들이 어릴 때 천지연 폭포를 다녀와서 천제연 폭포도 다녀온 줄 알고 있었습니다. 천제연 폭포는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찾아가는 길 제주공항-> 중문-> 서귀포간 공항버스 이용정류장 (633, 655, 690, 202, 282,521등 ) 천제연폭포 도보 5분 1. 내용중문 관광단지내에 있습니다. 상, 중, 하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폭포는 높이 22m 의 절벽으로 떨어져서 깊이 21m 의 짙푸른 천제연을 이루고, 그 못 물은 다시 흘러서 제2폭포가 되어 제2의 못을 이루면서 떨어지고, 제2못은 또다시 제3폭포가 되어 떨어져 바다로 흘러가는 장관을 이룹니다. 2. 명칭의 의미옥황상제의 선녀들이..

스타벅스 '제주 금악 DT 점' : 새별오름 전망 별모루 정원

#제주도 #스타벅스 #별모루정원 #제주금악DT점 #평화로 제주시에서 서귀포시 특히 중문관광단지 방변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길이 '평화로' 입니다. 이곳에 자리 잡은 스타벅스 '제주금악 DT 점'에 다녀왔습니다. 평화로를 지나다 보면 새별오름 맞은 편에 영업을 종료한 듯한 금악휴게소라는 팻말만 보이던 곳이 있었는데 어느날 보니 스타벅스로 영업 중이었습니다.제주스러운 돌담에 새겨진 스타벅스 로고가 멋있어 보여 궁금은 했지만 제주도민으로 살면서 생긴 '다음에 가지 뭐'하는 마음으로 쿨하게 지나다니다가 근처 '왕이메 오름' 가는 길에 들러 선물 받은 쿠폰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모임이 있거나 친구들과 함께가 아니면 카페에 갈 일은 거의 없는데 그나마 쿠폰이 있어 방문하지 아마 쿠폰이 없었다면 따로 방문하..

대정향교 : 제주 서남쪽 가볼만한 곳

제주도 서남쪽 단산 오름 아래 자리한 대정향교에 다녀왔습니다. 제주도는 무엇보다 자연환경이 좋은 섬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는데 잘 관리된 고즈넉한 한옥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향교로 165- 17찾아가는 법 : 네빅게이션에 대정향교를 검색하면 대정향교 앞 주차장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목 차 1. 향교2. 대정향교에 대하여 3. 방문후기 1. 향교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세운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을 가리킵니다. 2. 대정향교대정향교는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습니다.대정향교는 조선시대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