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오름

제주도 오름 이야기 - 첫번째

essay4023 2025. 3. 12. 10:04
반응형

 


제주도에는 368개의 오름이 있다고 합니다.
제주도 이주 열풍이 일던 때에 올레길에 대한  이유도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오름에 대한 관심도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 한동안은 한달에 몇 개의 오름은 가겠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었거든요
 
한동안은 오름이 한라산의 기생화산이라는 학설이 대세였습니다.
하지만 요즘 오름 해설사 분들도 
모든 오름이 각자의 화산활동을 했던 독립된 화산이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제주도 오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1. 오름의 정의 
2. 오름의 어원 
3. 오름의 형태
4. 마침말


 
1.오름의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분포하는 단성화산을 일컫는다. 제주에서 통용되는 순우리말이다. 쉽게 생각해서 제주도에 소재한 200m 이하 각 봉우리나 산들은 죄다 오름이라고 간주하면 대체 옳다.
단 제주도섬 중앙부의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은 제외한다. 한편 오름의 일부는 한라산 주변의 기생화산인데 그래서 인지 한동안 오름이 기생화산을 뜻한다고 알려지기도 했었지만 맞는 말은 아니다. 오름이라는 낱말 그 자체는 오늘날 제주 방언에만 남아있지만 원래는 산봉우리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제주도 탄생 설화에는 여신 설문대 할망이 흙을 나르다 오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할망이 제주도 한가운데에 한라산을 높이 쌓으려고 치마로 육지의흙을 퍼담았는데, 할망의 치마폭 사이에서 땅으로 떨어진 부스러기 흙덩이가 오름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또 다른 설화는 중국의 승려(도사) 이던 고종달이라는 자가 바다 건너에 상서로운 기운이 어려 찾아와 보니 바로 제주도였고, 고종달이 쇠말뚝을 제주도의 혈자리 여기저기에 박아 넣어 지기를 끊었더니 땅 이곳저곳에서 피가 솟구치더니 굳어져 오름이 되었다는 설화입니다.

 

2. 오름의 어원

여로 문헌을 통해 살펴볼 때 우리말의 동사인 오르다에서 파생된 낱말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오르-'에 명사 파생 접미 '-ㅁ'이 결합한 것입니다. 혜성가 에 나오는 악음(岳音)을 오름의 향찰 표기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3. 오름의 형태
오름의 외형적 특징에 따라 말굽형, 원추형, 원형,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오름 368 곳 중 말굽형 174곳, 원추형 102곳, 원형 102곳, 복합형 39곳 이라고 합니다.
 

  1. 말굽형 - 말 그대로 분화구의 한쪽이 용암의 유출이나 침식등으로 무너져서 오름이 말굽 형태를 띤 것으로, 보통은 분화 당시으 풍향에 따라 무너지는 방향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2. 원추형 - 화산분출이 끝난 후 아직 굳지 않은 쇄설물들이 다시 분화구 속으로 흘러들어가거나, 점성이 강하고 유동서이 약한 조면암질 용아이 화구에서 그대로 냉각되어 형성된 것이다. 정상부에 화구가 없으며 마치 삿갓을 덮은 듯한 모양입니다.
  3. 원형 - 정상에 화구 (굼부리)가 존재하는 오름이다. 그냥 머릿속에 있는 화산 이미지를 생각하면 거의 맞다고 보면  됩니다. 분화시 가스 분출 위주이거나 아니면 강한 폭발을 하는 경우 이런 형태로 형성된다고 합니다.
  4. 복합형 - 오름 하나에 위 형테가 섞여서 나타나거나 분화구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입니다 다른 형들은 모양이 단순한 편이지만, 복합형은 오름의 능선이 낙타 형상이 되거나 형태가 조금 더 복잡하다고 합니다. 송악산처럼 이중분화구가 있어도 이 경우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5. 산정과구호가 있는 오름 - 오름 정상부 분화구 안에 물이 차서 호수 등 습지 형태로 산정화구호가 있는 오름은 9개가 존재합니다. 물영아리, 물장오리, 원당봉, 어승생악, 금오름, 세미소, 물찻오름, 사라오름(서귀포), 동수악으로 다아연히 분화구가 남아야 하며, 대체로 원형오름의 형태 입니다.

 

4. 마침말 

제주도는 오름의 체계적인 보전을 위해 훼손이 심각한 오름에 대해서는 자연휴식년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도너리 오름, 문석이오름, 백약이 오름등이 이에 속하고 송악산은 둘레길을 제외한 일부 구간이 휴식년이었고 기간이 연장되었습니다. 

또한 제주도 오름은 사유지가 많아 유명한 오름이 아닌 경우 주소가 산으로 되어있거나 네비게이션 검색으로 입구를 찾을 수 없거나, 탐방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제주 관광 정보센터 064-740-6000 으로 문의 하시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