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 장마라고 들어보셨나요?
저는 어제 처음 들었습니다. 어제 아침 부터 제주도 안덕면에는 안개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아침에 출근하니 직원이 고사리 비가 온다고 해서 '고사리 비가 뭐예요? '하니 이렇게 내리는 비를 제주도 사람들이 그렇게 부른다고 하더라구요. 그분도 육지에서 오신 분이라 잘 모르는 것 같았습니다. 문득 작년 이맘때 계속 안개 낀 날이 계속되었던 기억이 났습니다. 금년에는 얼마나 오래갈지 걱정이 되네요. '고사리비' 를 검색해 보니 제주도 지방 뉴스에 고사리 장마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제주도 고사리 장마(비) 와 고사리철 안전사고와 예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고사리 장마의 뜻
2. 고사리철 안전사고 발생원인
3. 사고 예방 안전 수칙
4. 마침말
1. 고사리 장마의 뜻
오름이 유독 많은 제주도에는 봄이 되면 지천에서 고사리들이 겨우내 단단했던 땅을 뚫고 올라옵니다. 특히 많이 올라올 때가 3월말에서 4월까지 인데, 이 때 비가 많이(비오는 날이 많다는 뜻) 내리는 것을 고사리 장마라고 합니다. 마치 고사리를 위해 하늘에서 비를 뿌려주는 것 같다고 하여 이름 붙였다고 합니다.
2. 고사리철 안전사고 발생 원인 (사고는 해마다 '같은 시기' '같은 방식'으로 반복)
사고는 대부분 곶자왈, 중산간 목장지대, 표식이 부족한 오름 북사면 등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들 지역은 나무와 풀로 시야가 제한되고 땅만 보고 고사리를 꺽다 보면 방향 감각을 잃기 쉽습니다.
지난 5일 제주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2020년~2024년 까지 5년간 통계에 의하면 제주도 내에서 발생한 '길잃음' 사고는 총 511건으로 이 가운데 21건 (약 41.5%) 이 고사리 채취 중 발생한 사고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4월 한달에만 193건이 집중됐고, 봄철엔 10건 중 6건( 약 60%) 이 3월~5월에 발생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지난 4일 오후, 서귀포시 난산리에서 60대 여성이 고사리를 채취하던 중 실종됐다는 신고가 소방당국에 접수되었습니다. 이 여성은 휴대전화 없이 단독으로 이동하다 실종됐으며, 구조견과 수색팀이 약 40분만에 발견하면서 건강한 상태로 귀가 조치됐습니다.
이보다 앞선 1일에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에서 80대 남성이 고사리를 꺾다 실종됐으며 휴대전화 위치 추적으로 20분 만에 구조됐습니다.
3. 사고예방 안전수칙
제주 소방안전본부는 고사리 채취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기본 안전 수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반드시 일행과 함께 이동하고, 단독채취는 삼가야 합니다.
- 수시로 고개를 들어 주변 지형을 확인하고, 너무 깊은 곳까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휴대전화와 배터리, 그리고 호루라기나 밝은색 의복처럼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장비를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 길을 잃었을 경우에는 절대 이동하지 말고, 그 자리에 머무른 채 119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빠른 구조 방법 입니다.
- 신고 시에는 도로명 주소 표지, 전신주 번호, 인근 시설 전화번호 등 위치 정보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전달해야 수색이 용이합니다.
4. 마침말
고사리는 봄철 비가 온 뒤 하루 만에 다시 자랍니다. 이 때문에 '고사리는 아홉 번 꺽는다'는 말처럼 반복 수확이 가능한 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한 번 길을 잃으면, 다시 찾는 데 시간이 걸리는데다 경우에 따라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 개별로 움직이는 단독채취자, 장비를 소지하지 않은 채 입산한 경우 구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 사고 위험성을 더 높이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실종 직후 구조되지 못할 경우 체력 고갈, 부상, 저체온 등 2차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고 예방이 중요하다고 소방당국은 주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하지만, 예방은 사전에 준비할 수 있습니다. 채취의 즐거움보다 무사히 돌아오는 길을 확보하는 데 더 신경을 쓴다면 보다 안전한 봄철 고사리 채취를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살이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아시스 80: 논란의 제주도 이동건 카페에 다녀왔어요 (112) | 2025.04.28 |
---|---|
동태전 : 명절 차례상에 올라가는 전통 음식 (107) | 2025.04.27 |
봄철 제주도의 고사리 채취 : 도민들의 부수입과 고사리 효능에 대하여 (120) | 2025.04.15 |
제주 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82) | 2025.04.12 |
베르사체 브라이트 크리스탈 향수를 쿠팡에서 샀는데 가짜네요 (94)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