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ssay 4023 입니다. 오늘은 제주도 오름 중에서 전라북도의 지명과 같은 이름 군산오름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산 3-1 (군산오름 주차장)
찾아가는 길 : 네비게이션에 군산오름을 검색하면 정상 근처 주차장까지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목차
1. 군산오름의 개요
2. 군산오름 어원
3. 진지동굴
4. 금장지(禁葬地)
5. 탐방 후기
1. 군산오름의 개요
한라산 백록담, 쪽빛 하늘과 바다, 일출, 일몰, 야경을 모두 담아내는 멋진 경관에 감탄을 자아내는 오름입니다.
가장 나중에 생성된 오름이지만 제주도 내 오름 중 면적은 가장 넓은 오름으로 둘레만 8km, 면적은 축구장 400개가 넘는 규모입니다. 제주도는 사방팔방으로 한라산을 볼 수 있으나, 군산오름 아래 대평리에서 만큼은 한라산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군산오름의 웅장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또한, 진지동굴 탐방로는 일제 침략의 현장을 생생하게 증언함과 더불어 전쟁의 참혹함을 간접적으로 느껴보며 역사 및 평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군산오름의 어원
어떤 이들은 중국 곤륜산이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중국에 있는 서산이 옮겨온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서산이라고 부르다가 그 모양이 군막과 같다고 하여 군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그 산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났다고 하여 군뫼, 또는 굼뫼오름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3.진지동굴
진지동굴은 태평양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1945년 제주도에 들어온 일본군에 의해 우리나라 민간인을 강제동원하여 만들어졌다. 일본군 정예 병력 70,000여명을 제주도에 주둔시키면서 해안기지와 비행장, 작전 수행을 위한 도로, 각종 군사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만들어진 것이 진지동굴이다.
4. 금장지(禁葬地)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군산 봉우리에는 쌍선 망월형(雙仙望月形) 이라 하는 명당이 있는데, 이곳에 묘를 쓰면 가뭄과 흉년이 든다고 하여 무덤을 쓰지 못하게 한데서 연유한 지명이다. 과거 이 일대에 가뭄이 심했을 때 주민 한사람이 꿈에 군산 금지에 무엇이 들어 있다는 꿈을 꾸고, 마을 사람들과 찾았더니 사람의 눈에 띄지 않도록 봉분을 하지 않고 평장(平葬)을 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이장하자 비바람이 크게 몰아쳐 가뭄이 끝났다고 한다.
이 명당에 암장하면 가뭄이 든다는 것은 이곳이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이지만 묘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뜻이다. 따라서 어겼을 경우 가뭄이 드는 징벌이 행해진다고 하여 마을 공동체가 모이는 광장으로서의 의미와 군산의 영험함을 한없이 드러낸 것으로 주목된다.
5.탐방후기
정상까지는 찻길이 있어서 접근성은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올라가는 찻길이 외길이고 좁아서 반대편에 차가 올 때 많이 불편합니다. 이 점이 군산오름의 단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군산오름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주서로에서 군산오름으로 향해 가는 길에 보게 되는 풍경이 멋집니다. 봄철의 유채꽃이 없더라도 서귀포 앞바다의 생생한 모습을 차 안에서 볼 수 있습니다.
- 무엇보다도 정상에서 서귀포의 아름다운 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 주차장에서 5분이면 정상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탐방날은 바람이 많이 불어 정상에 서있기에도 힘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하늘이 맑지 않은 날이었는데도 정상에서 보는 서귀포 앞 바다와 하늘은 너무 좋아 보였습니다. 다음에는 정상 주차장이 아닌 애기업개돌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등산로를 걸어올라 가며 오름 탐방로를 천천히 느껴보고 싶어졌습니다.
♦️군산오름은 제주도민들은 물론이지만 시간이 많지 않은 관광객 분들도 한 번은 꼭 방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도오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오름(군산오름)에서 만난 들꽃들 (131) | 2025.04.21 |
---|---|
제주도 오름에서 만난 봄 들꽃들 (120) | 2025.04.20 |
남송이오름 : 오설록 근처의 높은 오름 (105) | 2025.04.14 |
금오름 : 제주도 서쪽 기안 84가 방문했던 오름 (115) | 2025.04.13 |
넙게오름 : 제주 생태 관광 에코투어 코스 (89)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