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살이 일상

옥돔 구이 만들기: 제주도 대표 생선 옥돔과 중국산 옥두어 구별법

essay4023 2025. 4. 4. 09:13
728x90
반응형

 

 

제주도 하면 생각나는 생선은 옥돔입니다. 요즘에는 제주도에 통갈치를 먹으로 올 정도로 통갈치가 유명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제주도 대표 생선은 옥돔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에 살기 시작하면서 두세달에 한 번은 육지로 생선을 사서 보내고 있습니다.
철에 따라서 민어도 보내고, 가오리도 보내고, 가자미도 보내지만, 집에서 먹는 생선은 포장이 안된 저렴한 생선들을 사게 됩니다. 
그중의 하나가 옥돔입니다. 물론 포장된 상품이 아니라 바구니에 널어 놓은 것들입니다. 보통 5마리에 3만원, 5만원, 7만원 정도로 크기와 어획량에 따라 가격은 달라지는 것 같았습니다.
옥돔이 어떤 생선인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1.옥돔의 개요
2. 유사어종
3. 쓰임새
4. 옥두어와 옥돔 구별법
5. 생선 굽기 
6. 마침말

 

 
1. 옥돔의 개요
도미로 취급되는 한 종류, 하지만 이름에 '돔'이 들어갈 뿐 도미과는 아닙니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근해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바다와 남해에 많이 서식합니다.
 
2.유사어종 
옥돔과 비슷하게 생긴 근연종인 중국산 옥두어가 국내산 옥돔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옥돔이 유명하다고 해서 먹었는데 비리기만 하고 맛이 없었다면 옥두어를 잘못 먹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주산 옥돔은 현지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진공포장 상태로 유통되는데, 그냥 시장이나 매대에 널어놓고 판매하는 것은 전문가가 아니면 옥두어와 구분이 어렵다고 합니다. 제주도 인증이 되지 않은 커다라 생선이 생각보다 저렴하다면 옥돔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외에 '남방옥돔'도 옥돔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쓰임새
고급어종으로 과거에도 비싼 생선이었는데, 최근 연안국가들의 남획으로 개쳇수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더 비싸지고 있습니다.주로 제주도에서 많이 소비되는데, 제주 지역에서는 잔칫날이나 제삿날에 빠지면 안되는 생선이며, 생일에 옥돔을 넣고 끓인 미역국을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옥돔은 해저면에 서식하는 생선이기 때문에 물 밖으로 건져 올리면 수압 차이로 인해 대부분 즉시 죽습니다. 따라서 신선한 옥돔을 구하기 어려워 횟감으로는 거의 소비되지 않고, 죽고 나서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내장이 녹아버려 횟감용 옥돔은 현지에서도 구하기 어렵습니다. 옥돔 특유의 식감 때문에 활어회로 먹는 경우는 거의 없고, 회로 먹는다면 다시마 숙성등을 해서 먹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결론, 옥돔은 회보다는 구이나 국으로 먹는게 일반적인데, 대부분 건조시킨 후 구워 먹습니다.
제철은 기름기가 많이 오른 겨울철입니다.
 
4. 옥두어와 옥돔 구별법
 
옥돔

  • 아가미 쪽에 은백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띠고 화려합니다.
  • 꼬리에 노란 줄무늬가 선명합니다.

옥두어

  • 아가미 쪽에 은백색 줄무늬가 없습니다.
  • 전체적으로 색이 연하고 밋밋합니다.
  • 꼬리에 노란 줄무늬가 밋밋합니다.

 
냉동실에 이전에 사둔 옥돔이 있어 구워 먹기로 했습니다. 
 
5. 생선굽기

  1. 해동된 옥돔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둡니다.
  2. 후라이팬을 달군 후 기름을 두르고 생선의 껍질 부분을 아래로 해서 먼저 굽습니다.
  3. 껍질 쪽이 익으면 뒤집어 안쪽을 굽습니다.

껍질 부분을 먼저 구워야 생선이 부서지지 않고 모양을 유지한 채 구울수 있습니다.
 
6. 마침말
옥두어를 옥돔으로 파는 경우가 많다 보니 내가 사먹는 생선이 진짜 옥돔이 맞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속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에 쉽게 사게 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것 같습니다. 

시장에서 구입할 때 사장님이 옥두어와 같이 들고 비교하면서 설명해 주셨어요. 그때는 알것 같았는데 막상 다른 곳에서 볼 때는 확신이 안생기더라구요. 
계산해 보니 한마리에 만원 정도 주고 산 것 같더라구요. 맛은 좋았습니다.
그래서 마음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저는 맛있는 생선을 한마리에 만원 주고 사 먹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