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9

대정향교 : 제주 서남쪽 가볼만한 곳

제주도 서남쪽 단산 오름 아래 자리한 대정향교에 다녀왔습니다. 제주도는 무엇보다 자연환경이 좋은 섬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는데 잘 관리된 고즈넉한 한옥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향교로 165- 17찾아가는 법 : 네빅게이션에 대정향교를 검색하면 대정향교 앞 주차장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목 차 1. 향교2. 대정향교에 대하여 3. 방문후기 1. 향교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세운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을 가리킵니다. 2. 대정향교대정향교는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습니다.대정향교는 조선시대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

단산 ( 바굼지 오름 ) : 제주도 오름 다섯번째

제주도 오름 다섯번째로 바굼지 오름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중산간 시골에 살면서 마트장을 보러 가는 대정 하나로 마트에 갈 때면 산방산 앞에 특이한 모양의 오름이 단산 (바굼지 오름) 입니다.바굼지 오름은 단산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외양이 다른 오름들과는 많이 달라 기억에 남는 오름입니다.목차 1. 바굼지 오름 명칭의 유래2. 바굼지 오름의 특징3. 찾아가는 길 4. 탐방후기 1. 바굼지 오름 명칭의 유래단산은 제주 남서쪽 작은 마을 인성에 있는 오름으로, 세 봉우리로 되어 있는데 중앙의 봉우리는 가장 높고 좌우의 두 봉우리가 박쥐의 날개로  거대한 박쥐가 날개를 편 모습을 연상케 한다고 하여바굼지 오름(단산 )이라 했다고 합니다.또 다른 이야기로 바굼지는 제주도의 방언으로 바구니라는 뜻이며 오래전 이 일..

제주도오름 2025.03.23

제주도 사람들 따뜻해요

제주도로 이주해 온지도 벌써 5년이 다 되어 갑니다. 처음 제주도로 온다고 했을 때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걱정했었습니다.아는 사람 하나 없는 제주도에서 살기가 쉽지 않을 거라고,제주도 사람들이 타지에서 온 사람들에게 무척 배타적이라고, 실제로 유튜브 등에서 그런 경험담을 많이 보기도 했었습니다.그럼에도 별 대안이 없어 제주도로 이주해 왔었습니다.  그리고 5년이 지난 지금 저는 잘 살고 있습니다.가끔은 '제주도민들이 배타적이다'라는 그 때의 말들을 생각해 보는데 그말에 저는 반대의 의견입니다. 어제 같이 일하는 여사님이 브로컬리를 주셨어요.힘들게 농사 지으신 것이니 파시라고 했지만, 가져온 것이니 그냥 가져다 먹으라고 하시네요.두 식구니 조금만 달라고 사정(?) 해서 6개만 받아 왔습니다. 작년 여름에는..

제주살이 일상 2025.03.22

제주 4.3 평화 공원 : 제주 4.3 네번째 이야기

오늘은 제주 4.3 평화 공원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 제주 4.3 평화공원은 4.3으로 발생한 민간인 학살과 당시 제주도민의 처절했던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며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평화, 인권 공원이라고 합니다.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430 제가 방문했던 날은 비가 와서 실외는 보지 못하고 4.3 기념관(전시실) 만 둘러 보고 왔습니다. 기념관은 총 6개의 전시실과 특별 전시실 그리고 해원의 퐁낭이라는 상징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다음은 각 전시실에 대한 설명들입니다. 해설사 분들의 설명을 듣지 않으시는 분들은 각 전시실의 내용을 미리 알고 가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제 1 전시실 역사의 동굴(프롤로그)4.3 당시 피신처로 활용되었던 천연동굴을 모티브로 조성된 입구를 지나면 ..

제주 4.3 세번째 : 너븐숭이 4.3 위령성지

지난 포스팅에서 현기영 작가의 순이삼촌에 대해 이야기 했었습니다.현기영 작가님의 순이삼촌 기념비가 있는 너븐숭이 4.3 위령성지에 다녀 왔습니다. 주소: 제주 제주시 조천읍 북촌 3길 3 https://essay4023.tistory.com/53 제주 4.3 두번째: 한강 작가 이전에 순이삼촌이 있었다.제주도에 살다 보면 어느 곳에서나 4.3을 만날 수 있습니다.특히 4.3 을 앞둔 요즘은 라디오를 틀어도, TV(제주방송)에서도4.3 희생자 분들과 그 유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제주 4.essay4023.tistory.com 애기무덤북촌리 주민 학살 사건 때 어른들의 시신은 살아남은 사람들에 의해 다른 곳에 안장 되었으나 어린아이들의 시신은 임시 매장한 상태 그대로 지금까지 남아있다.현재..

제주 4.3 두번째: 한강 작가 이전에 순이삼촌이 있었다.

제주도에 살다 보면 어느 곳에서나 4.3을 만날 수 있습니다.특히 4.3 을 앞둔 요즘은 라디오를 틀어도, TV(제주방송)에서도4.3 희생자 분들과 그 유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제주 4.3에 대한 기록들을 남겨보려 합니다.목 차1. 소설 순이삼춘2. 작가 현기영3. 줄거리4. 마침말 1. 소설 순이삼춘2024년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 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후로는 4.3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한강 작가 이전에 현기영 작가의 순이 삼촌 이 제주 4.3을 세상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순이삼촌은 작가 현기영이 1978년에 출간한 단편소설로 제주 4.3 사건을 중심으로 해서 화자인 주인고의 시점을 통해 당시에 있었던 일을 겪은 인물들과 중심 인물..

도서리뷰 2025.03.18

저지오름 산책길 : 제주도 오름 네번째 이야기

3월 따뜻한 날 저지오름에 다녀왔습니다.저지오름은 한림읍을 오가는 길에 눈여겨 보던 곳 입니다.저지리는 전국의 유명한 예술인들이 모인 저지문화예술인마을이 있고유명한 생각하는 정원이 있는 마을입니다. 1. 저지오름의 개요저지리의 도로 오른쪽에 우뚝 솟아 있는 오름입니다. 닥몰오름, 새오름 저지악등 여러 별칭으로 불립니다 높이 239.3m 둘레 2,542m 의 규모로 모든 사면의 경사도와 거리가 거의 같아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다고 합니다.산 정상에는 둘레 약 800m, 깊이 약 60m 에 달하는 깔대기 형태의 분화구가 있습니다. 2. 저지오름의 특징소나무, 삼나무, 팽나무, 육박나무를 비롯해 모두 220여 종 2만여 그루의 나무가 자라 자연 학습 생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합니다. 정상까지 오르는 길..

제주도오름 2025.03.17

한라산에 석굴암이 있대요

제주도 한라산에 석굴암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제주도에 오기 전에도 한라산 등반에 관심이 많았고제주도 오름도 갈 수 있을 때는 가보려고 노력했었는데처음 듣는 한라산 석굴암 이야기에 흥분이 되더라구요.바로 다녀왔습니다. 주소: 국립 제주 호국원 주차장🔅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제 1묘역 쪽으로 올라가면 입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등산로라는 표지판은 없습니다. 석굴암의 유래석굴암은 1947년 월암당 강도은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월암 스님이 기도처를 찾기 위해 아흔아홉골 내 선녀폭포 위쪽에 자리한 궤에서 1000일 기도를 드리고 회향하던 날 작은 새의 인도를 받아 지금의 석굴암 터를 정해서 지었다고 합니다.지금도 세상살이의 답답함을 조금이라도 덜어보고자 소망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으며, 특히 시..

송악산 둘레길 - 제주도 오름 세번째 이야기

공기가 맑지 않았던 3월 중순에 송악산 둘레길에 다녀 왔습니다.송악산은 유명한 관광지의 한 곳이기 때문에 찾아가는 길이 어렵지는 않습니다.차량 네비게이션에 송악산만 검색하면 바로 주차장으로 안내 받아 갈 수 있습니다. 주소: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송악관광로 421-1목차 1. 지질학적 의미의 송악산2.위치적인 특징3.관광지로서의 송악산4.탐방 후기5.마침말 1.지질학적 의미의 송악산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송악산은 우리나라 최남단 섬인 마라도를 볼 수 있고, 높게만 보이던 한라산도 여기서는 한 눈에 볼 수 있어 제주도 전체 경관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송악산 기저를 이루고 있는 암석은 수성응회암이며, 낮은 산 높이와 완만한 층리로 보아 응회환에 해당됩니다. 응회환은 마그마가 지하수나 지표수 ( 바다, ..

제주도오름 2025.03.14

윗세오름- 제주도 오름 : 두번째 이야기

제주도의 368개 오름 중 첫번째로 윗세오름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 183-1 목 차1.윗세오름의 개요 (명칭의 유래)2.윗세오름의 특징3. 윗세오름 대피소와 탐방 소요시간4. 선작지왓5. 마침말 1. 윗세오름의 개요( 명칭의 유래)윗세오름은 높이 1,740m 의 단성화산체입니다. 한라산 영실 등반로의 해발 1,600~1700m 고지 정상부근에는 붉은오름, 누운오름, 족은오름이라는 크고 작은 3개의 오름이 직선상으로 연달아 이어져 있습니다.이 3개의 오름을 합쳐 윗세오름이라고 부릅니다. 위에 있는 세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으로 아래쪽에 있는 세오름에 대응되는 것입니다. 예로부터 윗세오름 또는 웃세오름으로 불렀는데, 위에 있는 세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

제주도오름 2025.03.13